Network/HTTP

[HTTP] HTTP Status Code(상태 코드)와 RESTful API

Bans 2022. 7. 7. 01:32

HTTP 통신을 통해

HyperText 들이 클라이언트 - 서버 모델로 정보를 전달할 때

 

HTTP 상태 코드들이 사용되며,

 

자주 쓰이는 에러코드는 알아두면 좋다.

주로 쓰이는 에러코드와

에러코드가 나타내는 정보들에 대해 숙지해두자.

 

(400 401 403 404...)

 

참조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Status
 

HTTP 상태 코드 - HTTP | MDN

BCD tables only load in the browser HTTP 응답 상태 코드는 특정 HTTP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알려줍니다. 응답은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집니다: 정보를 제공하는 응답, 성공적인 응답, 리다이렉

developer.mozilla.org

파싱이란?

참조 블로그 : https://na27.tistory.com/230
 

Parsing (파싱) 이란? Parser (파서) 란?

Parsing (파싱) 이란? Parser (파서) 란? Parsing 언어학에서 parsing은 구문 분석이라고도하며 문장을 그것을 이루고 있는 구성 성분으로 분해하고 그들 사이의 위계 관계를 분석하여 문장의 구조를 결정

na27.tistory.com

RESTful API 란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대표적인 상태 전달'

REST란, "웹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이미지, 동영상, DB 자원)에 고유한 URI를 부여해 활용"하는 것으로,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론을 의미한다고 한다.

 

따라서 Restful API는 REST 특징을 지키면서 API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종의 Coding Convention. 설계원칙, 가이드를 지키면서 개발을 하자는 의미.)

 

> 왜 REST 개념이 대두되었을까?

큰 특징으로는 '애플리케이션 분리 및 통합', '다양한 클라이언트의 등장'이다.

애플리케이션의 복잡도가 증가하면서 애플리케이션을 어떻게 분리하고 통합하느냐가 주요 이슈가 되었고,

 

JAVA 진영에서 아래와 같은

EJB(Enterprise Java Beans),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에 이어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와 함께 REST가 떠오르고 있다.

 

모바일과 같은 다양한 클라이언트의 등장으로

Backend 하나로 다양한 Device를 대응하기 위해 REST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REST

 

REST의 특징

 

1) Uniform (유니폼 인터페이스) : HTTP 표준에만 따른다면, 안드로이드/IOS 플랫폼이든, 특정 언어나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모든 플랫폼에 사용이 가능하며, URI로 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아키텍처 스타일을 의미한다.

 

2) Stateless (무상태성) : HTTP는 Stateless Protocol 이므로, REST 역시 무상태성을 갖는다. 즉, HttpSession과 같은 컨텍스트 저장소에 상태정보를 따로 저장하고 관리하지 않고, API 서버는 들어오는 요청만을 단순 처리하면 된다. 세션과 같은 컨텍스트 정보를 신경쓸 필요가 없어 구현이 단순해진다.

 

3) Cacheable (캐시가능) : HTTP 기존의 웹 표준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웹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 가능하다. HTTP 프로토콜 기반의 로드밸런서(mod_proxy)나, SSL은 물론이고 HTTP가 가진 가장 강력한 특징 중의 하나인 캐싱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서비스에서 조회 기능이 주로 사용됨을 감안하면, HTTP 리소스들을 웹 캐쉬 서버 등에 캐싱하는 것은 용량이나 성능 면에서 이점이 있다. 캐싱 구현은 HTTP 프로토콜 표준에서 사용하는 Last-Modified 태그나 E-Tag를 이용하면 가능하다.

 

E-Tag : 메시지에 담겨있는 엔터티를 위한 엔터티 태그를 제공한다. 이를 활용하여 리소스를 식별할 수 있다.

Last-Modified : 엔터티가 마지막으로 변경된 시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파일인 경우 파일 시스템이 제공해 준 최근 변경 시각, 동적으로 생성된 리소스라면 응답이 만들어진 시간)

 

4) Self-descriptiveness (자체 표현 구조) : 동사(Method) + 명사(URI) 로 이루어져있어 어떤 메서드에 무슨 행위를 하는지 알 수 있으며, 메시지 포맷 역시 JSON을 이용해서 직관적으로 이해가 가능한 구조로, REST API 메시지만 보고도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5) Client - Server 구조 : REST 서버는 API 제공,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증이나 컨텍스트(세션, 로그인 정보 등)을 직접 관리하는 구조로 각각의 역할이 확실히 구분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서버에서 개발해야 할 내용이 명확해지고 서로간 의존성이 줄어들게 된다.

 

6) 계층형 구조 : API 서버는 순수 비지니스 로직을 수행하고, 그 앞단에 사용자 인증, 암호화(ssl), 로드밸런싱 등을 하는 계층을 추가하여 구조상의 유연상을 둘 수 있다. 이는 간단하게는 HA Proxy나 Apache의 Reverse Proxy를 통해, 더 나아가서는 API gateway 등을 활용하여 Micro Service Architecture로도 구현이 가능하게 한다.

 

REST API 설계 예시 및 응답상태 코드

 

 

RESTful

 

 

참조 블로그 : https://gmlwjd9405.github.io/2018/09/21/rest-and-restful.html

'Network > HT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간단 개념 정리  (0) 2022.07.07
HTTP - meta 태그에 대하여  (0) 2022.07.07